[NAS] 02. 내가 사용중인 DS116 기능

Synology의 NAS에는 DSM( DiskStation Manager )이라는  운영체제가 동작한다. 때문에 내가 구입한 DS116도 DSM( 6버전대 )에 의해 동작한다.

DSM에는 패키지 센터( Apple의 앱스토어나, Google의 구글 플레이 스토어같은 개념 )에서 제공하는 많은 프로그램들이 있다. 이 중에서 내가 NAS의 관리 및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을 제외하고, 실제적인 컨텐츠를 서비스 받기 위하여 사용중인 패키지들은 아래와 같다.

  1. Download Station
  2. Video Station
  3. Audio Station
  4. Photo Station
  5. Note Station
  6. Mail Station
  7. Cloud Station Server
  8. iTunes Server
  9. WebDAV Server
  10. CardDAV Server
  11. SVN Server
  12. Web Station, PHP, MySQL, WordPress
  13. PerlMail Server
  14. Node.jsSpreadSheet

위에서 언급했듯이 DS116을 관리하거나 사용의 편의성을 위해서 설치한 프로그램들은 제외했음에도 많이 설치하고 사용하고 있구나..
12, 13, 14번은 볼드체로 적어놓은 프로그램이 메인 컨텐츠이며, 그 외의 것들은 메인 컨텐츠를 사용하기 위하여 같이 설치해야만 하는 프로그램들이다. 이 외에도 패키지 센터에서 따로 설치할 필요없이 DSM에서 제공하는 기능들 중 사용하고 있는 것들도 있다.( File Station : 윈도우의 탐색기, 맥의 파인더와 비슷, 파일 서비스 : FTP 등 )

패키지 센터에서 제공하지 않는 프로그램들을 설치하고 싶을때는, 패키지 센터의
수동 설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DSM에 ssh 연결을 하여 터미널에서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참고로 DSM은 리눅스 기반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들 말고도 많은 패키지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윈도우/맥 환경뿐이 아니라 모바일( 앱스토어/플레이스토어/윈도우스토어 ) 환경에서도 컨텐츠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많은 앱들을 제공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를 참고하도록 하자.^^

[NAS] 01. 서버 구축에 대한 고민과 NAS 제품 선택

앞으로 프로젝트들을 수행함에 있어서 가장 필요한 기반은 서버 구축이다.
외부 환경에서도 언제든지 내 서버에 접속해서 필요한 사항들을 가져오거나 때때로 다른 유저들과 통신이 가능해야 하므로, 처음에는 집에서 굴러 다니는 스틱PC와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하여 저전력 서버 구축을 하려고 하다가 NAS로 눈을 돌리게 되었다.

NAS를 만드는 대표적인 업체들은 아래와 같다.
1. Synology
2. WD
3. ipTime

이 중에서, 나는 Synology사의 제품을 선택하였으며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1. NAS로써의 충실한 기능( 많은 소프트웨어를 제공 해준다. )
2. 괜찮은 성능
3. 차 후, 프로젝트들을 진행함에 있어서 개발 용도에 부합
( 각종 웹서버들 및 mysql, php, node.js, python, perl 등을 공식적으로 지원
또한, 리눅스 기반이며 SSH 접속이 가능하므로 별도로 설치하는 등 확장이 용이  )

아래는 이번에 개인서버구축을 위하여 준비한 제품들이다.
( 이 중에는 원래 집에 있던 것도 있고, 이번에 구입한 품목도 있다. )

1. 시놀로지 나스 DS116
2. 도시바 나스용 하드 4테라
3. 씨게이트 외장하드 4테라
4. 씨게이트 외장하드 2테라

DS116은 1베이지만 동일한 등급의 2베이에 비해서 가격은 싸면서 성능은 더 좋다.
굳이 2베이로 하여 레이드를 구성할 필요는 없었고, 만약에 하드 용량이 부족해진다면 외장 하드를 USB3.0에 물려서 추가적인 확장도 가능하기 때문에 DS116모델을 선택하였다.

구성은 DS116에 도시바 하드를 기본적으로 물리고, USB3.0 포트 두개에 각각 씨게이트 4테라, 2테라 외장하드를 물려놓았다. 각 외장 하드는 맥/윈도우 등에 바로 꽃아서 자료 공유를 할 수 있도록 FAT32으로 포맷하였다. ( exFAT를 사용하도 될 것으로 보인다. )

DS116의 초기 설치 과정은 너무나도 간단하므로, 생략해도 될 것 같다.^^

아래는 웹브라우저로 제공되는 DS116의 기본적인 원격 연결 화면이다.
DSM